본 제품에 대한 문서 세트는 편견 없는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설명서 세트의 목적상, 편견 없는 언어는 나이, 장애, 성별, 인종 정체성, 민족 정체성, 성적 지향성, 사회 경제적 지위 및 교차성에 기초한 차별을 의미하지 않는 언어로 정의됩니다. 제품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하드코딩된 언어, RFP 설명서에 기초한 언어 또는 참조된 서드파티 제품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인해 설명서에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스코에서 어떤 방식으로 포용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Cisco는 전 세계 사용자에게 다양한 언어로 지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계 번역 기술과 수작업 번역을 병행하여 이 문서를 번역했습니다. 아무리 품질이 높은 기계 번역이라도 전문 번역가의 번역 결과물만큼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Cisco Systems, Inc.는 이 같은 번역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으며 항상 원본 영문 문서(링크 제공됨)를 참조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CURWB 장치에 대한 유동성 레이어 3 설정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네트워크 트러블슈팅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목표는 원활한 설정 프로세스를 보장하고 잠재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툴을 갖추는 것입니다.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컨피그레이션에는 다음 하드웨어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특정 랩 환경의 디바이스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문서에 사용된 모든 디바이스는 초기화된(기본) 컨피그레이션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네트워크가 작동 중인 경우 모든 명령의 잠재적인 영향을 미리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CURWB(Cisco Ultra-Reliable Wireless Backhaul)에서 Fluidity는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로, IP 캡슐화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CURWB 모빌리티 네트워크에서 핸드오프 프로세스는 기존 링크가 끊어지고 새로운 링크가 설정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전환은 고속 모빌리티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과제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경과 유사합니다.
이러한 변화를 탐지하고 노드를 재구성하기 위한 기존의 메커니즘은 너무 느리고 데이터 집약적이어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luidity는 신속한 경로 재구성을 제공하는 고속 핸드오프 솔루션을 도입하여 지연 시간이 1밀리초 미만이 되도록 합니다. T
이 메커니즘은 네트워크의 컨트롤 플레인을 확장하고 노드 MPLS FIB(Forwarding Information Base) 테이블에 특수 조작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높은 이동성 시나리오에서 실시간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Fluidity 아키텍처에서는 모바일 노드가 상호 탐지 시 트랙사이드 무선 장치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의사 배선을 설정합니다.
차량이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 미리 정의된 유동성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한 트랙측 라디오 간에 핸드오프를 시작하여 원활한 연결과 최적의 성능을 보장합니다
레이어 3 유동성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의 모빌리티 과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동성 레이어 3은 차량이 서로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트랙측 기지국 또는 무선 장치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원활한 연결은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 터널을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이러한 터널은 각 네트워크 클러스터 또는 사이트의 메시 엔드를 네트워크 코어에 위치한 중앙 집중식 Fluidmesh 게이트웨이 장치(글로벌 게이트웨이)에 연결합니다.
각 글로벌 게이트웨이는 모든 네트워크 클러스터 또는 서브넷에서 메시 엔드와 함께 L2TP 터널을 설정합니다. 이 컨피그레이션을 사용하면 글로벌 게이트웨이에서 MPLS 라우팅이 수행되므로 각 서브넷에서 기존의 레이어 3 라우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레이어 3 유동성을 사용하면 핸드오프하는 동안에도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엔드 투 엔드 연결을 잃지 않고 여러 트랙사이드 네트워크 클러스터(각각 다른 네트워크 또는 서브넷에 속함) 사이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3 유동성은 여러 네트워크 구축 및 사이트에 걸쳐 확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심지어 상당한 거리로 구분된 것까지 포함합니다. 사이트가 사설 Fiber-Optic 링크를 통해 연결되거나 ISP와 같은 공용 도메인 인프라를 통해 연결되더라도 원활하게 작동합니다.
유동성 레이어 3은 L2TP 캡슐화를 사용하여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 및 "병합" 서브넷에서 작동합니다. 이러한 캡슐화는 여러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 즉 핵심 네트워크로 되돌아가는 차량을 위해 원활한 라우팅과 엔드 투 엔드 연결을 설정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Cisco CURWB(Ultra-Reliable Wireless Backhaul) 레이어 3 네트워크 설계의 아키텍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이 견고한 토폴로지는 이동하는 차량과 고정된 트랙사이드 인프라 간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궁극적으로 중앙 집중식 기업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통합합니다.
이 설계에서는 레이어 3 라우팅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함으로써 서로 다른 운영 도메인 간에 효율적인 데이터 흐름과 확장성을 보장합니다.
차량 세그먼트: 각 "차량"에는 온보드 라우터, 온보드 스위치, 온보드 서버 및 2개의 IW9167 장치가 장착되어 중요한 하드웨어 이중화를 제공합니다.
온보드 라우터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의 기본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며 온보드 스위치에 연결하여 IW9167 장치와 온보드 서버의 연결을 촉진합니다.
트랙사이드 서브넷: 인프라는 여러 "트랙사이드 서브넷"(예: 트랙사이드 서브넷 A, 트랙사이드 서브넷 n)을 포함하며, 각각 메시 엔드 및 메시 포인트 디바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IW9167 무선 디바이스로 구성됩니다.
각 트랙사이드 서브넷은 인그레스/이그레스 포인트에 2개의 메시 엔드 디바이스로 설계되어 하드웨어 이중화를 위한 "fastfail" 기능을 구현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각 서브넷 섹션이 서로 다른 지리적 영역을 나타내므로 기업 네트워크와의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하면서 차량이 이러한 영역 사이를 원활하게 로밍할 수 있습니다.
회사 네트워크: 이 중앙 네트워크는 백본 역할을 하며 모든 트랙측 서브넷에 연결되고 코어 인프라를 수용합니다. 코어 서버, 코어 라우터, 이중화 URWB 게이트웨이(기본 및 보조 IEC6400 디바이스)로 구성됩니다.
코어 라우터는 다양한 트랙사이드 서브넷의 트래픽을 집계하고 고정 경로를 관리하여 기업 네트워크와 차량 및 트랙사이드 세그먼트 모두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보장합니다.
구성 요소/장치 |
IP 주소 |
서브넷 |
기본 게이트웨이 |
L2TP 주소 |
참고 |
자동차 세그먼트 |
|||||
온보드 IW9167 (1) |
10.42.0.2 |
255.255.255.248 |
10.42.0.1 |
해당 없음 |
정적 경로 172.30.128.0/29 > 10.42.0.1 VIP: 10.42.0.6 |
온보드 IW9167 (2) |
10.42.0.3 |
255.255.255.248 |
10.42.0.1 |
해당 없음 |
|
온보드 서버 |
172.30.128.2 |
255.255.255.248 |
172.30.128.1 |
해당 없음 |
|
온보드 라우터 IW 인터페이스 |
10.42.0.1 |
255.255.255.248 |
|
||
온보드 라우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172.30.128.1 |
255.255.255.248 |
|||
트랙사이드 세그먼트(서브넷 A) |
|||||
메시 엔드 IW9167 (1) |
192.168.200.10 |
255.255.255.0 |
192.168.200.1 |
192.168.200.210 |
VIP 192.168.200.13 |
메시 엔드 IW9167 (2) |
192.168.200.12 |
255.255.255.0 |
192.168.200.1 |
192.168.200.212 |
|
메시 포인트 IW9167 |
192.168.200.15 |
255.255.255.0 |
192.168.200.1 |
||
트랙사이드 세그먼트(서브넷 B) |
|||||
메시 엔드 IW9167 (1) |
192.168.201.10 |
255.255.255.0 |
192.168.201.1 |
192.168.201.210 |
VIP 192.168.201.13 |
메시 엔드 IW9167 (2) |
192.168.201.12 |
255.255.255.0 |
192.168.201.1 |
192.168.201.212 |
|
메시 포인트 IW9167 |
192.168.201.15 |
255.255.255.0 |
192.168.201.1 |
||
코어 네트워크 세그먼트 |
|||||
게이트웨이 IEC6400 (1) |
192.168.20.2 |
255.255.255.0 |
192.168.20.1 |
192.168.20.12 |
VIP 192.168.20.4 |
게이트웨이 IEC6400 (1) |
192.168.20.3 |
255.255.255.0 |
192.168.20.1 |
192.168.20.13 |
|
코어 라우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
192.168.20.1 |
255.255.255.0 |
정적 경로: 172.30.128.0/29 -> 192.168.20.4 정적 경로: 10.42.0.1 -> 192.168.20.4 |
||
코어 라우터 트랙사이드 서브넷 A 인터페이스 |
192.168.200.1 |
255.255.255.0 |
|||
코어 라우터 트랙사이드 서브넷 n 인터페이스 |
192.168.201.1 |
255.255.255.0 |
|||
코어 라우터 서버 인터페이스 |
172.20.128.2 |
255.255.255.248 |
172.20.128.1 |
이 문서에서는 기본 레이어 3 컨피그레이션을 제시하며, 코어 네트워크와 차량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필수 설정만 강조 표시합니다. 비필수 컨피그레이션 및 고급 기능은 이 개요에서 다루지 않습니다.
컨피그레이션은 글로벌 게이트웨이, 로컬 메시 엔드, 차량 무선 장치에서 하드웨어 리던던시(FastFail)를 통합하는 설계를 따르며 FastFail이 이미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MPLS HA(FastFail) 및 VIP는 GUI를 통해 구성할 수 없으며 CLI 또는 IW-Services를 사용해야 합니다. MPLS FastFail 컨피그레이션에 대한 자세한 지침은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IEC6400은 글로벌 게이트웨이로 구성될 경우 CURWB 레이어 3 네트워크의 인그레스 및 이그레스 포인트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어 코어-차량 연결을 지원합니다. IEC6400에 대한 게이트웨이 작업은 Fluidity(유동성) 페이지에서 구성됩니다.
반면, IW9167과 같은 디바이스를 레이어 3 네트워크의 전역 게이트웨이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 모드 페이지에서 명시적 게이트웨이 컨피그레이션이 필요합니다. 또한 게이트웨이 모드에서 IW 무선 장치를 구성하면 무선 인터페이스가 비활성화되므로 무선 끄기 모드를 유동성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IEC-6400의 경우 일반 모드 페이지에서 패스프레이즈가 구성되는 반면, 다른 무선 장치의 경우 무선 라디오 페이지에서 패스프레이즈가 설정됩니다.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트랙사이드 및 차량 장치에 동일한 패스프레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디바이스의 로컬 IP, 로컬 넷마스크 및 기본 게이트웨이를 필요에 따라 구성해야 합니다.
L2TP 컨피그레이션 페이지에서 게이트웨이와 동일한 서브넷 내의 L2TP WAN IP 주소를 할당하고 WAN 게이트웨이를 이 서브넷의 게이트웨이로 지정합니다. 로컬 UDP 포트는 5701로 구성해야 합니다.
Fluidity(유동성) 페이지에서 Fluidity(유동성) 모드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IEC6400 유닛 역할은 인프라로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3 작업의 경우 네트워크 유형을 여러 서브넷으로 설정하고 전역 게이트웨이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트랙측 무선 장치의 컨피그레이션이 필요합니다. 트랙사이드 무선 장치는 여러 서브넷에 걸쳐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서브넷 아래의 무선 장치는 클러스터를 형성합니다. 각 클러스터에는 CURWB 무선 장치의 해당 서브넷에 대한 인그레스 및 이그레스 지점 역할을 하는 전용 메시 엔드 무선 장치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고가용성(HA)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메시 엔드를 하나 또는 두 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 내의 나머지 트랙측 무선 장치는 메시 포인트로 구성해야 합니다.
디바이스의 로컬 IP, 로컬 넷마스크 및 기본 게이트웨이를 필요에 따라 구성해야 합니다.
Wireless Radio(무선) 페이지에서 다른 모든 무선 장치와 동일한 암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무선 인터페이스의 무선 역할은 Fluidity로 구성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한 무선에 여러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실습 설정에서는 간소화를 위해 Radio 1만 구성되고 Radio 2는 비활성화됩니다.
L2TP 컨피그레이션 페이지에서 게이트웨이와 동일한 서브넷 내의 L2TP WAN IP 주소를 할당하고 WAN 게이트웨이를 이 서브넷의 게이트웨이로 지정합니다. 로컬 UDP 포트는 5701로 구성해야 합니다. 전역 게이트웨이가 각 서브넷 클러스터의 메시 엔드 라디오와 함께 L2TP 터널을 설정하므로 메시 엔드 라디오에서만 이 컨피그레이션이 필요합니다.
Fluidity(유동성) 페이지에서 Unit Role(유닛 역할)은 Infrastructure(인프라)여야 합니다. 레이어 3 작업의 경우 네트워크 유형을 여러 서브넷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차량 무선 장치 구성이 다음으로 필요합니다. 트랙사이드 무선 장치는 여러 서브넷에 걸쳐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서브넷 아래의 무선 장치는 클러스터를 형성합니다. 각 클러스터에는 CURWB 무선 장치의 해당 서브넷에 대한 인그레스 및 이그레스 지점 역할을 하는 전용 메시 엔드 무선 장치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고가용성(HA)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메시 엔드를 하나 또는 두 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 내의 나머지 트랙측 무선 장치는 메시 포인트로 구성해야 합니다.
디바이스의 로컬 IP, 로컬 넷마스크 및 기본 게이트웨이를 필요에 따라 구성해야 합니다.
Wireless Radio(무선) 페이지에서 다른 모든 무선 장치와 동일한 암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무선 인터페이스의 무선 역할은 Fluidity로 구성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한 무선에 여러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지만 Radio 1만 구성되고 Radio 2는 간소화를 위해 이 Lab 설정에서 비활성화됩니다.
차량 네트워크에 온보드 디바이스 또는 서버를 위한 여러 서브넷이 포함된 경우, 고정 경로를 온보드 무선에 구성해야 합니다. 이 컨피그레이션에서는 게이트웨이가 온보드 라우터의 해당 인터페이스로 설정된 상태에서 온보드 서브넷 및 넷마스크를 지정해야 합니다.
차량 라디오를 구성할 때 Unit Role(유닛 역할)을 Vehicle(차량)로 설정해야 합니다. Network Type(네트워크 유형)으로 Multiple Subnets(여러 서브넷)를 활성화하려면 먼저 Automatic Vehicle ID(자동 차량 ID)의 선택을 취소해야 합니다. 각 차량의 라디오에 고유 차량 ID를 할당해야 합니다. 그러나 동일한 차량에 여러 무선 장치가 있는 경우 모든 장치에 대해 동일한 차량 ID를 구성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Network Type(네트워크 유형)을 Multiple Subnets(다중 서브넷)로 설정합니다.
참고:
기본 레이어 3 컨피그레이션은 GUI를 통해 수행할 수 있지만 메시 엔드 디바이스를 위해 TITAN 또는 VIP를 구성하려면 CLI 또는 IW-Services를 사용해야 합니다. GUI에서는 이러한 옵션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IW916X 무선 장치를 게이트웨이로 구성하는 동안 무선 꺼짐이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무선 꺼짐 모드는 유동적이어야 합니다.
참고: 그러나 메시 포인트의 경우 트랙사이드 무선 모드 메시 포인트
차량 네트워크에 온보드 디바이스 또는 서버를 위한 여러 서브넷이 포함된 경우, 고정 경로를 온보드 무선에 구성해야 합니다. 이 컨피그레이션에서는 게이트웨이가 온보드 라우터의 해당 인터페이스로 설정된 상태에서 온보드 서브넷 및 넷마스크를 지정해야 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기사 시작 부분에 나와 있는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CURWB 디바이스에 대한 CLI 컨피그레이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글로벌 게이트웨이, 트랙사이드 메시 엔드, 차량에서 FastFail 이중화가 구현되었다고 가정합니다. 특정 FastFail 이중화 컨피그레이션 단계는 앞서 언급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여기서는 레이어 3 유동성에 특정한 VIP 개념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여기서는 FastFail이 모든 필수 무선 장치에 이미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IEC6400을 게이트웨이로 구성
iotod-iw configure offline
### BASIC CONFIG ###
modeconfig passphrase URWB
ip addr 192.168.20.2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20.1
modeconfig layer 3 mode gateway
l2tp wan 192.168.20.12 255.255.255.0 192.168.20.1 port 5701
l2tp add 192.168.200.210 5701
### APPLY CONFIG ###
write
reboot
AP 라디오를 게이트웨이로 구성:
configure iotod-iw offline
### BASIC CONFIG ###
configure ap address ipv4 static 192.168.20.2 255.255.255.0 192.168.20.1
configure modeconfig mode gateway
configure modeconfig mode meshend radio-off fluidity
configure wireless passphrase URWB
configure fluidity id infrastructure
configure l2tp wan 192.168.20.12 255.255.255.0 192.168.20.1
configure l2tp port 5701
configure l2tp add 192.168.200.210 5701
mpls fastfail primary 192.169.20.4 // Set the virtual IP address of the redundant device group in Layer-3 scenarios
### APPLY CONFIG ###
write
Reload
configure iotod-iw offline
### BASIC CONFIG ###
configure ap address ipv4 static 192.168.200.10 255.255.255.0 192.168.200.1
configure modeconfig mode meshend //Applicable for only Mesh End Trackside Radio
configure modeconfig mode meshpoint //Applicable for only Mesh point Trackside Radio
configure wireless passphrase URWB
configure dot11Radio 1 enable
configure dot11Radio 1 channel 149
configure dot11Radio 1 band-width 20
configure dot11Radio 1 antenna ab-antenna
configure dot11Radio 1 antenna gain 10
configure dot11Radio 1 txpower-level AUTO
configure dot11Radio 1 mode fluidity
configure dot11Radio 2 disable
mpls fastfail primary 192.168.200.13 // Set the virtual IP address of the redundant device group in Layer-3 scenarios
configure modeconfig mode meshend mpls layer 3 //Applicable for only Mesh End Trackside Radio
configure modeconfig mode meshpoint mpls layer 3 //Applicable for only Mesh point Trackside Radio
configure fluidity id infrastructure
## L2TP CONFIG ## //Applicable only to the mesh end Trackside radios
configure l2tp wan 192.168.200.210 255.255.255.0 192.168.200.1
configure l2tp port 5701
configure l2tp add 192.168.20.12 5701
configure l2tp add 192.168.20.13 5701
### APPLY CONFIG ###
write
Reload
configure iotod-iw offline
### BASIC CONFIG ###
configure ap address ipv4 static 10.42.0.2 255.255.255.248 10.42.0.1
configure modeconfig mode meshpoint
configure wireless passphrase URWB
configure dot11Radio 1 enable
configure dot11Radio 1 channel 149
configure dot11Radio 1 band-width 20
configure dot11Radio 1 antenna ab-antenna
configure dot11Radio 1 antenna gain 10
configure dot11Radio 1 txpower-level AUTO
configure dot11Radio 1 mode fluidity
configure dot11Radio 2 disable
configure modeconfig mode meshpoint mpls layer 3
configure fluidity id vehicle-id 1
configure ip route add 172.30.128.0 255.255.255.248 10.42.0.1
mpls fastfail primary 10.42.0.6 // Set the virtual IP address of the redundant device group in Layer-3 scenarios
### APPLY CONFIG ###
write
Reload
configure terminal
ip route 172.30.128.0 255.255.255.248 192.168.20.4
ip route 10.42.0.1 255.255.255.248 192.168.20.4
exit
write
configure terminal
ip route 0.0.0.0 0.0.0.0 10.42.0.6
exit
write
Switch#show vlan brief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Gi1/0/3, Gi1/0/6, Gi1/0/7
Gi1/0/8, Gi1/0/9, Gi1/0/10
Gi1/0/13, Gi1/0/22
10 IT active Gi1/0/16
20 SALES active Gi1/0/17
30 CAMERA active Gi1/0/18
1002 fddi-default act/unsup
1003 token-ring-default act/unsup
1004 fddinet-default act/unsup
1005 trnet-default act/unsup
Switch #show interfaces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Gi1/0/23 on 802.1q trunking 100
Gi1/0/24 on 802.1q trunking 100
Port Vlans allowed on trunk
Gi1/0/23 1-4094
Gi1/0/24 1-4094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Gi1/0/23 1,10,20,30,60,100
Gi1/0/24 1,10,20,30,60,100
Port Vlans in spanning tree forwarding state and not pruned
Gi1/0/23 1,10,20,30,60,100
Gi1/0/24 1,10,20,30,60,100
configure vlan status enabled
configure vlan management 60
configure vlan native 60
configure ip route add 10.10.10.0 255.255.255.0 10.42.0.6
configure ip route add 10.10.20.0 255.255.255.0 10.42.0.6
configure ip route add 10.10.30.0 255.255.255.0 10.42.0.6
configure terminal
ip route 10.10.10.0 255.255.255.0 192.168.20.4
ip route 10.10.20.0 255.255.255.0 192.168.20.4
ip route 10.10.30.0 255.255.255.0 192.168.20.4
exit
write
Fluidity L3 네트워크 시나리오에서 L2TP 터널 상태는 확인할 가장 중요한 설정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IDLE(유휴) 또는 WAIT(대기) 상태이거나 올바르게 구성되지 않은 클러스터를 향하는 L2TP 터널은 차량이 특정 클러스터에 연결될 때 차량과 백본 간의 통신을 방지합니다.
터널 상태를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은 CLI에서 "show l2tp"를 실행하거나 GUI에서 상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시스템이 정상 상태(모든 디바이스가 가동 및 실행 중)인 경우, 이는 글로벌 게이트웨이와 각 L3 유동성 트랙사이드 클러스터 간에 예상되는 시나리오입니다.
개정 | 게시 날짜 | 의견 |
---|---|---|
1.0 |
09-Jul-2025 |
최초 릴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