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에서는 무선 LAN(WLAN) 요소 간에 무선 링크를 설정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몇 가지 주요 문제를 다룹니다. Cisco Aironet WLAN 구성 요소 간의 RF(Radio Frequency) 통신 문제를 4가지 근본 원인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펌웨어 및 드라이버 문제
소프트웨어 구성 문제
안테나 및 케이블 문제를 포함한 RF 장애
클라이언트 문제
이 문서에 대한 특정 요건이 없습니다.
이 문서는 특정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버전으로 한정되지 않습니다.
문서 규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isco 기술 팁 표기 규칙을 참조하십시오.
무선 신호 문제를 추적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펌웨어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WLAN에 무선 통신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각 구성 요소에서 해당 펌웨어 또는 드라이버의 최신 버전을 실행해야 합니다. WLAN 제품에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 또는 펌웨어를 사용합니다. Cisco Downloads(등록된 고객만 해당)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된 드라이버 및 펌웨어를 구하십시오.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은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선 통신 문제가 발생하면 WLAN 디바이스의 컨피그레이션이 무선 실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가 성공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특정 매개변수를 올바르게 구성해야 합니다. 매개변수를 잘못 구성하면 결과 문제가 라디오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매개변수에는 Service Set Identifier(서비스 세트 식별자), 빈도, 데이터 전송률 및 거리가 포함됩니다.
Cisco Aironet WLAN 디바이스는 무선 인프라의 다른 모든 Cisco Aironet 디바이스와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서로 다른 SSID를 갖는 장치는 서로 직접 통신하지 못합니다.
무선 장치는 자동으로 올바른 주파수를 찾도록 설정됩니다. 디바이스는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를 수신 대기하거나 디바이스와 동일한 SSID를 갖는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 대기하기 위해 주파수 스펙트럼을 스캔합니다. 주파수를 Automatic(자동)으로 구성하지 않은 경우 WLAN 인프라의 모든 디바이스가 동일한 주파수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데이터 속도는 AP 커버리지 영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데이터 전송률(예: 1Mbps)이 낮을수록 데이터 전송률이 높은 영역보다 AP에서 더 멀리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WLAN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데이터 속도(초당 메가비트 수)로 구성된 경우 디바이스가 통신하지 못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일반적인 시나리오입니다.
교량은 두 건물 사이를 소통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브리지가 11Mbps의 데이터 속도로 설정되고 다른 브리지가 1Mbps의 데이터 속도로 설정되면 통신이 실패합니다.
디바이스 쌍이 동일한 데이터 속도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경우, 다른 요인으로 인해 해당 속도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 결과, 통신이 실패합니다.
브리지 쌍 중 하나의 데이터 전송률이 11Mbps로 설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 전송률을 사용하도록 설정된 경우, 각 유닛은 11Mbps로 통신합니다. 그러나 통신에서 장치가 더 낮은 데이터 전송률로 되돌아가도록 요구하는 일부 장애가 있는 경우 11Mbps로 설정된 장치가 되돌아오지 못하고 통신이 실패합니다.
Cisco에서는 WLAN 디바이스가 둘 이상의 데이터 속도로 통신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리들 사이의 무선 연결은 때때로 매우 길다. 따라서 무선 신호가 무선 간에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습니다. Distance 매개변수는 지연을 고려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다양한 타이머를 조정합니다. 루트 브리지에만 매개변수를 입력하여 반복자에게 알립니다. 교량 집합에서 가장 긴 무선 링크의 거리는 마일이 아니라 킬로미터로 입력됩니다.
많은 요인들이 무선 신호의 성공적인 송신 또는 수신을 손상시킨다. 가장 일반적인 문제는 무선 간섭, 전자기 간섭, 케이블 문제, 안테나 문제입니다.
Cisco Aironet WLAN 장비가 작동하는 2.4GHz 대역에서 무선 장비를 작동하려면 라이센스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 결과, 다른 송신기는 WLAN이 사용하는 동일한 주파수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습니다.
스펙트럼 분석기는 빈도에 활동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가장 좋은 도구입니다. Cisco Aironet 브리지의 테스트 메뉴에서 사용할 수 있는 Carrier Busy 테스트는 이 항목의 대용으로 작동합니다. 이 테스트는 다양한 주파수에 대한 활동의 대략적인 표시를 생성합니다. WLAN에서 송수신 무선 간섭이 의심되는 경우 해당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장비를 끄고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이 테스트에서는 사용자의 주파수 및 장비가 작동할 수 있는 다른 주파수의 활동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주파수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 클라이언트, 액세스 포인트 또는 브리지의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높은 오류 카운터는 RF 간섭의 영향을 나타냅니다. AP(액세스 포인트) 또는 브리지의 로그에 있는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RF 간섭을 식별할 수도 있습니다. 출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May 13 18:57:38.208 Information Interface Dot11Radio0, Deauthenticating Station 000e.3550.fa78 Reason: Previous authentication no longer valid
May 13 18:57:38.208 Warning Packet to client 000e.3550.fa78 reached max retries, removing the client
RF 간섭으로 인해 CRC 오류와 PLCP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한 셀의 무선 장치 수(AP, 브리지 또는 클라이언트)가 높을수록 이러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CRC 및 PLCP 오류가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은 무선 브리지의 간헐적 연결 문제의 CRC, PLCP 오류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Cisco Aironet WLAN 장비와 가까운 곳에서 작동하는 비 무선 장비는 때때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간섭이 신호의 수신 및 전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EMI는 송신보다는 송신기의 구성 요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EMI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선 장비를 EMI의 잠재적 소스로부터 격리합니다. 가능한 경우 이러한 소스에서 장비를 찾습니다. 또한 전원 회로에서 발생하는 EMI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WLAN 장비에 조정된 전원을 공급합니다.
안테나를 Cisco Aironet WLAN 장치에 연결하는 케이블은 무선 통신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거리 통신을 위한 브리지를 설정할 경우 안테나 케이블이 필요 이상으로 길지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케이블이 길어질수록 신호 감쇠가 커지며, 이는 신호 강도가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범위가 작아집니다. 사용 중인 안테나 및 케이블 조합을 기반으로 두 브리지가 통신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테나 계산 스프레드시트(Microsoft Excel 형식)에서 이 도구를 다운로드합니다.
다른 네트워크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안테나 케이블을 올바르게 설치하여 전달된 신호가 깨끗하고 간섭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케이블이 사양에 맞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사항을 피하십시오.
느슨한 연결 - 케이블의 양쪽 끝에 있는 커넥터가 느슨하면 전기 접촉이 저하되고 신호 품질이 저하됩니다.
손상된 케이블 - 물리적 손상이 분명한 안테나 케이블은 사양에 따라 작동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손상은 때때로 케이블 내의 신호의 유도 반사를 초래한다.
전원 케이블과 공유되는 케이블 런 - 전원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EMI가 안테나 케이블의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테나 계산 스프레드시트(Microsoft Excel 형식)를 사용하여 사용 중인 안테나 및 케이블 조합을 기반으로 두 브리지가 통신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계산합니다.
많은 경우 LOS(Line of Sight)는 특히 단거리에서 통신하는 WLAN 디바이스에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전파 전파의 특성 때문에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는 장치는 종종 실내마다 성공적으로 통신합니다. 건물 건설에 사용되는 재료의 밀도는 RF 신호가 통과할 수 있는 벽의 수를 결정하고 여전히 적절한 커버리지를 유지합니다. 다음은 신호 침투에 미치는 물질의 영향 목록입니다.
종이와 플라스틱은 신호 침투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솔리드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은 커버리지를 저하시키지 않고 신호 침투를 하나 또는 두 벽으로 제한합니다.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블록 벽은 3개 또는 4개의 벽으로 신호 침투를 제한합니다.
목재 또는 건식벽으로 5개 또는 6개의 벽에서 적절한 신호 침투가 가능합니다.
두꺼운 금속 벽은 신호가 반사되게 합니다. 이로 인해 신호 침투가 원활하지 않습니다.
1 - 1 1/2" 간격의 와이어 메쉬가 2.4GHz 신호를 차단하는 1/2" 물결로 작동합니다.
두 점을 함께 연결할 때(예: 이더넷 브리지) 거리, 장애물 및 안테나 위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안테나를 실내에 장착할 수 있고 거리가 수백 피트 짧을 경우 표준 다이폴 또는 자기 장착형 5.2dBi 전방향 또는 야기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거리가 ½ 마일 이상인 경우 지향성 고이득 안테나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안테나는 가능한 높아야 하며, 나무 및 건물과 같은 장애물보다 높아야 합니다.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주 방사 전력 로브가 서로 향하도록 안테나를 정렬해야 합니다. LOA(Line of Sight) 구성과 야기(Yagi) 안테나를 사용하면 최대 40km(2.4GHz)의 거리를 포물선 접시 안테나(Parabolic Dish Antenna)를 통해 도달할 수 있으며, 명확한 사이트 라인이 유지됩니다.
참고: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서는 포인트-투-포인트 시스템으로만 작동해야 하며 총 전력이 +36dBm 유효 등방성 방사 전력(EIRP)을 초과하는 시스템에 대해 고이득 지향성 안테나를 전문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EIRP는 수신기로 전송되는 겉보기 전력입니다. 설치자 및 최종 사용자는 고전력 시스템이 포인트-투-포인트 시스템으로서 엄격하게 동작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Cisco Unified Wireless Network의 클라이언트 문제 해결 문서는 Cisco Unified Wireless 환경에서 무선 클라이언트를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하기 위해 수행할 단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무선 링크 사이에 뚜렷한 LOS가 있거나 프레넬 차단이 없더라도 신호 강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사용되는 안테나의 방사 패턴일 수 있다. 많은 경우, 더 높은 이득 omni는 샴페인 글래스와 유사한 패턴을 갖는다. 낮은 게인의 무지향성 안테나는 스틱의 장축을 중심으로 한 도넛이나 프리스비와 유사합니다.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전부는 아니지만 가장 많이 동반되는 방사 패턴 다이어그램을 살펴보는 것이다. 보통 두 개의 도표가 있습니다. 하나는 옆면의 패턴(omni의 경우 중요)이고, 다른 하나는 위쪽의 패턴(방향, 야기, 접시 및 패널의 경우 중요)입니다. 전송된 신호가 수신 안테나의 헤드를 통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치가 제대로 접지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접지는 안전 측면에서만 매우 중요합니다. 번개 방지기는 번개를 멈추지 않습니다. 이러한 인레이터는 정전기에서 빠져나와 노출된 요소에 축적될 수 있는 공간 전하를 (경향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AP와 유선 네트워크 사이에 파이버의 세그먼트를 배치하여 zap가 나머지 네트워크를 죽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꼬인 곳이나 꼬인 곳, 예리한 굽은 곳, 깨진 자켓 등이 있는지 체크합니다. Gigabplus 주파수에서 케이블 연결의 잘못된 부분이 신호 전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개정 | 게시 날짜 | 의견 |
---|---|---|
1.0 |
14-Nov-2001
|
최초 릴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