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에서는 Catalyst 레이어 3 스위치를 사용하여 VLAN 전체에서 WOL(Wake-On-LAN) 지원을 위한 샘플 컨피그레이션을 제공합니다.
이 컨피그레이션을 시도하기 전에 이러한 주제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다음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버전을 기반으로 합니다.
Cisco IOS® 시스템 소프트웨어 릴리스 12.2(25r)SEC를 실행하는 Catalyst 3750 Series 스위치
Cisco IOS 시스템 소프트웨어 릴리스 12.1(19)EA1a를 실행하는 Catalyst 2950 Series 스위치
Microsoft Windows 2000 운영 체제를 실행하는 PC
SolarWinds의 프리웨어 Wake-On-LAN 유틸리티
참고: Cisco에서는 Wake-On-LAN 유틸리티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특정 랩 환경의 디바이스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이 문서에 사용된 모든 디바이스는 초기화된(기본) 컨피그레이션으로 시작되었습니다.현재 네트워크가 작동 중인 경우, 모든 명령어의 잠재적인 영향을 미리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문서 규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isco 기술 팁 표기 규칙을 참고하십시오.
WOL(Wake-On-LAN)은 절전 시스템을 깨우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조합입니다.WOL은 특수 코드된 네트워크 패킷(매직 패킷)을 이러한 패킷에 응답하기 위해 장착되고 활성화된 시스템에 전송합니다.이 추가 기능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시스템 전원을 끄더라도 관리자가 시스템에 대한 유지 관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관리자는 WOL 기능을 사용하여 모든 휴지 시스템 전원을 원격으로 켜서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WOL은 PC가 종료될 때 NIC가 계속 전원을 공급 받고 매직 패킷이 도착할 때까지 네트워크에서 계속 수신 대기한다는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이 매직 패킷은 다양한 연결 없는 프로토콜(UDP, IPX)을 통해 전송할 수 있지만 UDP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원격 네트워크에서 WOL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직접 브로드캐스트를 허용하도록 라우터를 구성해야 합니다.이 작업은 두 가지 이유로 수행해야 합니다.
PC가 절전 상태이므로 IP 주소가 없으며 라우터에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s)에 응답하지 않습니다.따라서 ARP 없이 세그먼트에서 로컬 서브넷 IP 브로드캐스트 패킷만 전송됩니다.
라우터와 PC 사이에 레이어 2 스위치가 있는 경우, 이는 오늘날 대부분의 네트워크에 해당되며, 스위치는 PC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를 알지 못합니다.레이어 2 브로드캐스트 또는 알 수 없는 유니캐스트 프레임만 모든 스위치 포트로 전송됩니다.모든 IP 브로드캐스트 패킷은 브로드캐스트 MAC 주소로 전달됩니다.
IP Directed 브로드캐스트는 공통 및 인기 있는 Smurf Denial of Service 공격에서 사용되며, 관련 공격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P 지정 브로드캐스트는 전송 컴퓨터가 직접 연결되지 않은 서브넷의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전송되는 데이터그램입니다.지정 브로드캐스트는 대상 서브넷에 도달할 때까지 네트워크를 통해 유니캐스트 패킷으로 라우팅되며, 여기에서 링크 레이어 브로드캐스트로 변환됩니다.IP 주소 지정 아키텍처의 특성 때문에 체인의 마지막 라우터인 대상 서브넷에 직접 연결된 라우터만 디렉티드 브로드캐스트를 최종적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지정 브로드캐스트는 합법적인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사용은 금융 서비스 산업 밖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스머프 공격에서 공격자는 위조된 소스 주소에서 지정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ICMP 에코 요청을 보냅니다.이렇게 하면 대상 서브넷의 모든 호스트가 위조된 소스에 응답을 보냅니다.이러한 요청의 연속 스트림을 전송하면 공격자는 훨씬 더 큰 회신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하면 호스트가 완전히 잠길 수 있으며, 호스트 주소는 위조됩니다.
Cisco 인터페이스가 no ip directed-broadcast 명령으로 구성된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에서 링크 레이어 브로드캐스트로 분해되는 직접 브로드캐스트가 대신 삭제됩니다.즉, no ip directed-broadcast 명령은 대상 서브넷에 연결된 모든 라우터의 모든 인터페이스에서 구성해야 합니다.방화벽 라우터에서만 구성할 수는 없습니다.no ip directed-broadcast 명령은 Cisco IOS Software Release 12.0 이상에서 기본값입니다.이전 릴리스에서는 합법적인 지정 브로드캐스트를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은 모든 LAN 인터페이스에 명령을 적용해야 합니다.
이 섹션에는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됩니다.
참고: 이 섹션에 사용된 명령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명령 조회 도구(등록된 고객만 해당)를 사용하십시오.
이 문서에서는 다음 네트워크 설정을 사용합니다.
다음은 이 네트워크 설정의 세부 정보입니다.
PC 1, 2 및 3은 깨어나야 하는 클라이언트 PC입니다.
PC 4는 DHCP 서버뿐만 아니라 WOL 서버입니다.
PC 4는 고정 IP 주소 172.16.3.2/24으로 구성됩니다.
클라이언트 PC는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가져오도록 구성됩니다.
DHCP 서버(PC 4)는 VLAN 2, 3 및 4에 연결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해 3개의 IP 범위로 구성됩니다.
SW-1 및 SW-2(Catalyst 2950)는 레이어 2 스위치로 사용되고 L3(Catalyst 3750)은 레이어 3 스위치로 사용됩니다.
PC 1과 4는 동일한 VLAN(VLAN 3)에 연결됩니다.
PC 2와 3은 각각 VLAN 2와 4에 연결됩니다.
이 문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스위치 구성을 사용합니다.
L3 |
---|
Switch>en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hostname L3 L3(config)#ip routing L3(config)#vtp mode server Device mode already VTP SERVER. L3(config)#vtp domain cisco Changing VTP domain name from NULL to cisco L3(config)#vlan 2 L3(config-vlan)#vlan 3 L3(config-vlan)#vlan 4 L3(config)#interface gigabitEthernet 2/0/1 L3(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L3(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L3(config-if)#interface gigabitEthernet 2/0/2 L3(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L3(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L3(config-if)#exit L3(config)#access-list 101 permit udp host 172.16.3.2 any eq 7 !--- This accepts directed broadcasts only from PC 4. L3(config)#ip forward-protocol udp 7 !--- Specifies the protocol and port to be forwarded. !--- Capture the WOL packet with any network sniffer to determine the UDP port !--- to use in this command. The port number varies with the WOL utility used. L3(config-if)#interface vlan 2 L3(config-if)#ip address 172.16.2.1 255.255.255.0 L3(config-if)#ip helper-address 172.16.3.2 !--- Enables BOOTP broadcast forwarding to the DHCP server. L3(config-if)#ip directed-broadcast 101 !--- Enables the translation of a directed broadcast to physical broadcasts. L3(config-if)#interface vlan 3 L3(config-if)#ip address 172.16.3.1 255.255.255.0 L3(config-if)#ip helper-address 172.16.2.255 L3(config-if)#ip helper-address 172.16.4.255 !-- Enables forwarding of WoL packets to clients. !--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ip forward-protocol command. L3(config-if)#interface vlan 4 L3(config-if)#ip address 172.16.4.1 255.255.255.0 L3(config-if)#ip helper-address 172.16.3.2 !--- Enables BOOTP broadcast forwarding to the DHCP server. L3(config-if)#ip directed-broadcast 101 !--- Enables the translation of a directed broadcast to physical broadcasts. L3(config)#^Z L3#wr Building configuration... [OK] L3# |
SW-1 |
---|
Switch>en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hostname SW-1 SW-1(config)#vtp mode client Setting device to VTP CLIENT mode. SW-1(config)#vtp domain cisco Changing VTP domain name from NULL to cisco SW-1(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1 SW-1(config-if)#spanning-tree portfast %Warning: portfast should only be enabled on ports connected to a single host. Connecting hubs, concentrators, switches, bridges, etc... to this interface when portfast is enabled, can cause temporary bridging loops. Use with CAUTION %Portfast has been configured on FastEthernet0/1 but will only have effect when the interface is in a non-trunking mode.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4 SW-1(config-if)#interface fastEthernet 0/2 SW-1(config-if)#spanning-tree portfast %Warning: portfast should only be enabled on ports connected to a single host. Connecting hubs, concentrators, switches, bridges, etc... to this interface when portfast is enabled, can cause temporary bridging loops. Use with CAUTION %Portfast has been configured on FastEthernet0/2 but will only have effect when the interface is in a non-trunking mode.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3 SW-1(config-if)#interface gigabitethernet 0/1 SW-1(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1(config-if)#^Z SW-1#wr Building configuration... [OK] SW-1# |
SW-2 |
---|
Switch>en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hostname SW-2 SW-2(config)#vtp mode client Setting device to VTP CLIENT mode. SW-2(config)#vtp domain cisco Changing VTP domain name from NULL to cisco SW-2(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1 SW-2(config-if)#spanning-tree portfast %Warning: portfast should only be enabled on ports connected to a single host. Connecting hubs, concentrators, switches, bridges, etc... to this interface when portfast is enabled, can cause temporary bridging loops. Use with CAUTION %Portfast has been configured on FastEthernet0/1 but will only have effect when the interface is in a non-trunking mode.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3 SW-2(config-if)#interface fastEthernet 0/2 SW-2(config-if)#spanning-tree portfast %Warning: portfast should only be enabled on ports connected to a single host. Connecting hubs, concentrators, switches, bridges, etc... to this interface when portfast is enabled, can cause temporary bridging loops. Use with CAUTION %Portfast has been configured on FastEthernet0/2 but will only have effect when the interface is in a non-trunking mode.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 SW-2(config)#interface gigabitethernet 0/1 SW-2(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2(config-if)#^Z SW-2#wr Building configuration... [OK] SW-2# |
현재 대부분의 마더보드에는 내장 NIC가 있으며 WOL 기능을 지원합니다.일부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WOL이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WOL을 활성화하려면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옵션으로 이동해야 합니다.클라이언트 PC에서 WOL을 활성화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컴퓨터의 POST(Power On Self Test) 중에 BIOS 설정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참고: 일반적으로 F10 또는 Delete 키를 눌러 BIOS 설정을 입력합니다.
BIOS 화면 내에서 Advanced settings(고급 설정)와 Device Options(디바이스 옵션)로 이동합니다.
이 화면에서 Wake-On-LAN 관련 설정을 찾아 활성화합니다.
BIOS 설정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참고: BIOS에서 WOL을 활성화하는 정확한 절차 및 옵션은 각 컴퓨터 제조업체와 다릅니다.BIOS 설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컴퓨터와 함께 제공된 마더보드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WOL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네트워크 카드의 고급 속성을 확인합니다.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및 전화 접속 연결을 선택한 다음 로컬 영역 연결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Properties(속성)를 클릭하고 Configure(구성)를 선택합니다.
Advanced 탭으로 이동합니다.Wake Up Capabilities 속성을 Both 및 WOL Speed로 설정합니다.
Power Management(전원 관리) 탭을 클릭하고 Allow this device to bring the computer out of standby(이 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컴퓨터를 끄도록 허용) 확인란을 선택합니다.
참고: Microsoft Windows XP 컴퓨터에는 다음 옵션 하나가 더 있습니다.관리 스테이션만 컴퓨터를 대기 상태에서 꺼낼 수 있습니다.이 마지막 옵션은 WOL 매직 패킷을 받은 경우에만 컴퓨터를 켜줍니다.이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어댑터로 전송되는 모든 트래픽이 PC를 켜게 됩니다.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얻으려면 다음 단계를 완료합니다.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및 전화 접속 연결을 선택한 다음 로컬 영역 연결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일반 탭에서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클릭한 다음 속성을 클릭합니다.
Obtain an IP address automatically를 선택합니다.
WOL 서버를 구성하려면 다음 단계를 완료합니다.
Wake-On-LAN 유틸리티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고정 IP 주소가 172.16.3.2/24인 PC를 구성합니다.
PC를 DHCP 서버로 구성합니다.
다음 세부 정보를 사용하여 3개의 범위를 만듭니다.
범위 | IP 범위 | IP 제외 범위 |
---|---|---|
VLAN 2 | 172.16.2.1 - 172.16.2.254 마스크 - 255.255.255.0 | 172.16.2.1 |
VLAN 3 | 172.16.3.1 - 172.16.3.254 마스크 - 255.255.255.0 | 172.16.3.1 및 172.16.3.2 |
VLAN 4 | 172.16.4.1 - 172.16.4.254 마스크 - 255.255.255.0 | 172.16.4.1 |
DHCP 서버 컨피그레이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indows Server 2003 작업 그룹의 DHCP 서버 설치 및 구성 방법을 참조하십시오.
이 섹션을 사용하여 컨피그레이션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다음 단계를 완료하십시오.
PC의 전원을 켜고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 표시된 대로 해당 스위치에 연결합니다.
각 PC에 로그인하여 MAC 주소와 IP 주소를 기록합니다.
참고: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ipconfig /all 명령을 입력하여 MAC 주소 및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Ping을 사용하여 PC 간의 연결을 확인합니다.
성공적인 연결을 확인한 후 모든 클라이언트 PC(PC 1, PC 2 및 PC 3)를 끕니다.
서버 PC(PC 4)에서 WOL 유틸리티를 시작합니다.
다음과 같이 "절전 모드 해제"할 PC의 MAC 주소 및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참고: IP 주소는 클라이언트 PC가 연결된 해당 VLAN 서브넷 범위의 모든 주소(심지어 서브넷 브로드캐스트)일 수 있습니다.클라이언트 PC의 MAC 주소만 일치해야 합니다.
장치의 전원을 켜려고 시도하여 일련의 Magic 패킷을 대상 PC로 전송하려면 Wake PC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원격 디바이스가 절전 모드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원을 켜면 다음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클라이언트 PC의 전원이 켜졌습니다.
현재 이 컨피그레이션에 사용할 수 있는 특정 문제 해결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