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제품에 대한 문서 세트는 편견 없는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설명서 세트의 목적상, 편견 없는 언어는 나이, 장애, 성별, 인종 정체성, 민족 정체성, 성적 지향성, 사회 경제적 지위 및 교차성에 기초한 차별을 의미하지 않는 언어로 정의됩니다. 제품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하드코딩된 언어, RFP 설명서에 기초한 언어 또는 참조된 서드파티 제품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인해 설명서에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스코에서 어떤 방식으로 포용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Cisco는 전 세계 사용자에게 다양한 언어로 지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계 번역 기술과 수작업 번역을 병행하여 이 문서를 번역했습니다. 아무리 품질이 높은 기계 번역이라도 전문 번역가의 번역 결과물만큼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Cisco Systems, Inc.는 이 같은 번역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으며 항상 원본 영문 문서(링크 제공됨)를 참조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트러블슈팅을 위한 일반적인 Cisco Call Studio 시나리오 및 해당 시나리오에 대한 로그를 얻을 수 있는 위치에 대해 설명합니다.
다음 주제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유용합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Cisco Call Studio 11.6 및/또는 12.0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특정 랩 환경의 디바이스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문서에 사용된 모든 디바이스는 초기화된(기본) 컨피그레이션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네트워크가 작동 중인 경우 모든 명령의 잠재적인 영향을 미리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Call Studio 설치 로그는 C:\Temp 디렉터리에 있습니다.
다음은 새 설치에 대한 로그 예입니다.
[10-20-2020 08:52:32] Informational: Starting Call Studio installation procedure...
[10-20-2020 08:52:32] Informational: Attempting to read version file: D:\CallStudio\Installer_Windows\VERSION
[10-20-2020 08:52:32] Informational: Welcome to the installation of the Cisco Unified Call Studio, Release 12.0.1.
[10-20-2020 08:52:34] Informational: User has passed the Copyrights notification screen.
[10-20-2020 08:52:37] Informational: User has accepted the license agreement.
[10-20-2020 08:52:38] Informational: User selected directory: C:\Cisco\CallStudio
[10-20-2020 08:52:38] Informational: User has selected target directory = C:\Cisco\CallStudio
[10-20-2020 08:52:39] Informational: LaunchApp - success running: Setting CALLSTUDIO_HOME environmental variable through setx: C:\Windows\system32\setx.exe
[10-20-2020 08:52:39] Informational: Installing the Vc++ redistributable exe from the path: C:\Users\ADMINI~1\AppData\Local\Temp\3\{7F6E4651-C47A-4607-8E9D-64A8B21F688F}\{763E1DF9-41BC-4C54-9705-A0C6D1594B26}\vcredist_x64.exe
[10-20-2020 08:52:41] WARNING: LaunchApp - Error 5100 while running: Attempting to silently install Vcredist_x64 using cmd=.
[10-20-2020 08:52:41] ERROR: Installation of VC++ redistributable failed.
[10-20-2020 08:52:41] Informational: Installation of VC++ redistributable failed.
[10-20-2020 08:53:13] Informational: Launching program C:\Users\ADMINI~1\AppData\Local\Temp\3\{7F6E4651-C47A-4607-8E9D-64A8B21F688F}\{763E1DF9-41BC-4C54-9705-A0C6D1594B26}\studio.bat with command line options "C:\Cisco\CallStudio\eclipse\jre\bin\java.exe" C:\Users\ADMINI~1\AppData\Local\Temp\3\{7F6E4651-C47A-4607-8E9D-64A8B21F688F}\{763E1DF9-41BC-4C54-9705-A0C6D1594B26}\ "C:\Cisco\CallStudio\eclipse\plugins\com.audiumcorp.studio.license\license"
[10-20-2020 08:53:14] Informational: Successfully added install path for registry key SOFTWARE\Cisco Systems, Inc.\Cisco Unified Call Studio\11.6.1
[10-20-2020 08:53:14] Informational: WriteLine successfully wrote to C:\Cisco\CallStudio\eclipseeclipse.ini
[10-20-2020 08:53:14] Informational: WriteLine successfully wrote to C:\Cisco\CallStudio\eclipseeclipse.ini
[10-20-2020 08:53:15] Informational: New Installation Complete.
Call Studio 라이센스는 버전 11.6까지만 유효합니다. 12.0 이상부터는 Call Studio에 라이센스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음에서 라이센스 로그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로그 파일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C:\Cisco\CallStudio\eclipse\workspace\.메타데이터
!SUBENTRY 1 com.audiumcorp.studio.core 4 4 2019-07-24 14:33:13.797
!MESSAGE This installation of Call Studio cannot be used until it has been activated.
If you installed Call Studio more than 30 days ago, you are now required to activate it to use it.
To activate, restart Call Studio, enter your licensing information and click on the 'Activate >>' button.
!STACK 0
com.audiumcorp.license.client.LicenseException: This installation of Call Studio cannot be used until it has been activated.
If you installed Call Studio more than 30 days ago, you are now required to activate it to use it.
To activate, restart Call Studio, enter your licensing information and click on the 'Activate >>' button.
at com.audiumcorp.studio.core.license.LicenseManager.initialize(LicenseManager.java:184)
at com.audiumcorp.studio.core.CorePlugin.validateLicense(CorePlugin.java:325)
at com.audiumcorp.studio.core.CorePlugin.start(CorePlugin.java:308)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BundleContextImpl$1.run(BundleContextImpl.java:711)
at java.security.AccessController.doPrivileged(Native Method)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BundleContextImpl.startActivator(BundleContextImpl.java:702)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BundleContextImpl.start(BundleContextImpl.java:683)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BundleHost.startWorker(BundleHost.java:381)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AbstractBundle.start(AbstractBundle.java:299)
at org.eclipse.osgi.framework.util.SecureAction.start(SecureAction.java:440)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setLazyTrigger(BundleLoader.java:268)
at org.eclipse.core.runtime.internal.adaptor.EclipseLazyStarter.postFindLocalClass(EclipseLazyStarter.java:107)
at org.eclipse.osgi.baseadaptor.loader.ClasspathManager.findLocalClass(ClasspathManager.java:463)
at org.eclipse.osgi.internal.baseadaptor.DefaultClassLoader.findLocalClass(DefaultClassLoader.java:216)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findLocalClass(BundleLoader.java:400)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SingleSourcePackage.loadClass(SingleSourcePackage.java:35)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findClassInternal(BundleLoader.java:473)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findClass(BundleLoader.java:429)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findClass(BundleLoader.java:417)
at org.eclipse.osgi.internal.baseadaptor.DefaultClassLoader.loadClass(DefaultClassLoader.java:107)
at 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358)
at com.audiumcorp.studio.builder.core.util.BuilderResources.isBuilderSupported(BuilderResources.java:138)
at com.audiumcorp.studio.builder.core.CorePlugin.validateLicense(CorePlugin.java:74)
at com.audiumcorp.studio.builder.core.CorePlugin.start(CorePlugin.java:60)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BundleContextImpl$1.run(BundleContextImpl.java:711)
at java.security.AccessController.doPrivileged(Native Method)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BundleContextImpl.startActivator(BundleContextImpl.java:702)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BundleContextImpl.start(BundleContextImpl.java:683)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BundleHost.startWorker(BundleHost.java:381)
at org.eclipse.osgi.framework.internal.core.AbstractBundle.start(AbstractBundle.java:299)
at org.eclipse.osgi.framework.util.SecureAction.start(SecureAction.java:440)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setLazyTrigger(BundleLoader.java:268)
at org.eclipse.core.runtime.internal.adaptor.EclipseLazyStarter.postFindLocalClass(EclipseLazyStarter.java:107)
at org.eclipse.osgi.baseadaptor.loader.ClasspathManager.findLocalClass(ClasspathManager.java:463)
at org.eclipse.osgi.internal.baseadaptor.DefaultClassLoader.findLocalClass(DefaultClassLoader.java:216)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findLocalClass(BundleLoader.java:400)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SingleSourcePackage.loadClass(SingleSourcePackage.java:35)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findClassInternal(BundleLoader.java:473)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findClass(BundleLoader.java:429)
at org.eclipse.osgi.internal.loader.BundleLoader.findClass(BundleLoader.java:417)
at org.eclipse.osgi.internal.baseadaptor.DefaultClassLoader.loadClass(DefaultClassLoader.java:107)
at 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358)
at java.lang.Class.getDeclaredConstructors0(Native Method)
at java.lang.Class.privateGetDeclaredConstructors(Class.java:2493)
at java.lang.Class.getConstructor0(Class.java:2803)
at java.lang.Class.newInstance(Class.java:345)
at org.eclipse.core.internal.registry.osgi.RegistryStrategyOSGI.createExecutableExtension(RegistryStrategyOSGI.java:184)
at org.eclipse.core.internal.registry.ExtensionRegistry.createExecutableExtension(ExtensionRegistry.java:905)
at org.eclipse.core.internal.registry.ConfigurationElement.createExecutableExtension(ConfigurationElement.java:243)
at org.eclipse.core.internal.registry.ConfigurationElementHandle.createExecutableExtension(ConfigurationElementHandle.java:55)
at org.eclipse.ui.internal.WorkbenchPlugin$1.run(WorkbenchPlugin.java:268)
at org.eclipse.swt.custom.BusyIndicator.showWhile(BusyIndicator.java:70)
at org.eclipse.ui.internal.WorkbenchPlugin.createExtension(WorkbenchPlugin.java:264)
at org.eclipse.ui.internal.registry.EditorDescriptor.createEditor(EditorDescriptor.java:235)
at org.eclipse.ui.internal.EditorManager.createPart(EditorManager.java:875)
at org.eclipse.ui.internal.EditorReference.createPartHelper(EditorReference.java:609)
at org.eclipse.ui.internal.EditorReference.createPart(EditorReference.java:465)
at org.eclipse.ui.internal.WorkbenchPartReference.getPart(WorkbenchPartReference.java:595)
at org.eclipse.ui.internal.EditorAreaHelper.setVisibleEditor(EditorAreaHelper.java:271)
at org.eclipse.ui.internal.EditorManager.setVisibleEditor(EditorManager.java:1459)
at org.eclipse.ui.internal.EditorManager$5.runWithException(EditorManager.java:972)
at org.eclipse.ui.internal.StartupThreading$StartupRunnable.run(StartupThreading.java:31)
at org.eclipse.swt.widgets.RunnableLock.run(RunnableLock.java:35)
at org.eclipse.swt.widgets.Synchronizer.runAsyncMessages(Synchronizer.java:135)
at org.eclipse.swt.widgets.Display.runAsyncMessages(Display.java:4140)
at org.eclipse.swt.widgets.Display.readAndDispatch(Display.java:3757)
at org.eclipse.ui.application.WorkbenchAdvisor.openWindows(WorkbenchAdvisor.java:803)
at org.eclipse.ui.internal.Workbench$33.runWithException(Workbench.java:1600)
at org.eclipse.ui.internal.StartupThreading$StartupRunnable.run(StartupThreading.java:31)
at org.eclipse.swt.widgets.RunnableLock.run(RunnableLock.java:35)
at org.eclipse.swt.widgets.Synchronizer.runAsyncMessages(Synchronizer.java:135)
at org.eclipse.swt.widgets.Display.runAsyncMessages(Display.java:4140)
at org.eclipse.swt.widgets.Display.readAndDispatch(Display.java:3757)
at org.eclipse.ui.internal.Workbench.runUI(Workbench.java:2609)
at org.eclipse.ui.internal.Workbench.access$4(Workbench.java:2499)
at org.eclipse.ui.internal.Workbench$7.run(Workbench.java:679)
at org.eclipse.core.databinding.observable.Realm.runWithDefault(Realm.java:332)
at org.eclipse.ui.internal.Workbench.createAndRunWorkbench(Workbench.java:668)
at org.eclipse.ui.PlatformUI.createAndRunWorkbench(PlatformUI.java:149)
at org.eclipse.ui.internal.ide.application.IDEApplication.start(IDEApplication.java:123)
at org.eclipse.equinox.internal.app.EclipseAppHandle.run(EclipseAppHandle.java:196)
at org.eclipse.core.runtime.internal.adaptor.EclipseAppLauncher.runApplication(EclipseAppLauncher.java:110)
at org.eclipse.core.runtime.internal.adaptor.EclipseAppLauncher.start(EclipseAppLauncher.java:79)
at org.eclipse.core.runtime.adaptor.EclipseStarter.run(EclipseStarter.java:344)
at org.eclipse.core.runtime.adaptor.EclipseStarter.run(EclipseStarter.java:179)
at sun.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sun.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57)
at sun.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606)
at org.eclipse.equinox.launcher.Main.invokeFramework(Main.java:622)
at org.eclipse.equinox.launcher.Main.basicRun(Main.java:577)
at org.eclipse.equinox.launcher.Main.run(Main.java:1410)
at org.eclipse.equinox.launcher.Main.main(Main.java:1386)
Error Log 보기에는 플러그인에 의해 로깅된 모든 경고 및 오류가 캡처됩니다. 기본 로그 파일은 작업 영역의 .metadata 하위 디렉토리에 저장된 .log 파일입니다. Error Log 보기는 Window > Show View > Error Log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정렬
로그 보기의 이벤트는 메시지, 플러그인 ID 또는 날짜별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정렬 기준으로 사용할 열 머리글을 클릭하면 됩니다. 열 헤더의 아래쪽 화살표는 내림차순을 나타냅니다. 반면 위쪽 화살표는 오름차순을 나타냅니다.
이벤트 그룹화
로그 보기의 이벤트는 세션 또는 플러그인 ID별로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뷰의 도구 모음에서 펼침 단추를 클릭하고 그룹화 기준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벤트 필터링
특정 유형 또는 세션의 이벤트를 표시하도록 뷰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기의 항목 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필터링 옵션은 보기의 도구 모음 드롭다운 메뉴에서 필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임의의 .log 파일을 보기로 가져오려면 Import Log 도구 모음 단추를 누르거나 상황에 맞는 메뉴에서 Import Log...를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파일 시스템에서 .log 파일을 선택합니다.
현재 로그 보기 내용을 파일로 내보내려면 로그 내보내기 도구 모음 단추를 누르거나 상황에 맞는 메뉴에서 로그 내보내기...를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파일 이름을 입력합니다.
로그 지우기 및 삭제
기본 .log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로그 내용 보기를 지우려면 로그 지우기 도구 모음 단추를 누르거나 컨텍스트 메뉴에서 [로그 지우기 뷰어]를 선택합니다.
기본 .log 파일을 영구적으로 삭제하려면 [로그 삭제] 도구 모음 단추를 누르거나 상황에 맞는 메뉴에서 [로그 삭제]를 선택합니다.
이벤트 세부 정보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전체 세부사항은 이벤트 세부사항 대화 상자에서 특정 항목을 두 번 클릭하거나 해당 항목의 컨텍스트 메뉴에서 이벤트 세부사항을 선택하여 볼 수 있습니다. 각 이벤트의 Date, Severity, Message, Exception Stack Trace(사용 가능한 경우) 및 Session Data(세션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위쪽 및 아래쪽 화살표 버튼을 통해 한 항목에서 다음 항목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오류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려면 클립보드 이미지가 있는 단추를 누릅니다.
워크벤치에서 자원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다양한 빌더가 문제 보기에 문제, 오류 또는 경고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문 오류가 있는 Java 소스 파일을 저장하면 [문제] 보기에 기록됩니다. 문제, 오류 또는 경고에 대한 아이콘을 두 번 클릭하면 연결된 리소스의 편집기가 자동으로 해당 코드 줄에 열립니다.
기본적으로 Problems(문제) 보기는 심각도별로 문제를 그룹화합니다. 유형을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특정 구성 요소는 고유한 그룹화를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JDT(Java Development Tools) 지원은 Java Problem Type 그룹을 추가합니다. [그룹화 기준] 메뉴를 사용하여 그룹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문제 보기의 첫 번째 열에는 행 항목의 유형, 범주 및 설명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항목을 마우스 왼쪽 단추로 클릭하여 편집기에서 파일을 열고 문제가 포함된 줄을 강조 표시합니다.
특정 리소스 또는 리소스 그룹과 관련된 경고 및 오류만 표시하도록 문제 보기 내용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드롭다운 메뉴에서 사용 가능한 콘텐츠 구성 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수행합니다. Problems(문제) 보기에 여러 필터를 추가하고 필요에 따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필터는 추가(활성화된 필터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문제가 표시됨) 또는 제외(모든 필터를 만족하는 문제만 표시됨)가 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필터(All Errors and Warnings on Selection)는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컨텍스트 메뉴에서 빠른 수정을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해결책 목록이 표시됩니다.
현재 관점에 문제 보기를 추가하려면 [창] > [보기 표시] > [기타...] > [일반] > [문제]를 클릭합니다.